폐기물 저감시설과 비산먼지 저감 허술 등
충남종합건설사업소에서 발주하고 남광토건이 시공 중인 ‘충화~구룡간 2차로 확·포장공사’ 현장에서 폐기물관리 부실 등 개선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4일 현재 해당 현장은 진·출입구에 부직포 등 저감시설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애써 비싼 비용을 들여 설치한 자동식 세륜·세척시설을 가동하지 않아 공사 차량 등이 세륜시설을 비켜 운행, 도로에 토사가 유출하면서 대기오염 가중은 물론이거니와 가뜩이나 요즘 초미세먼지로 고통을 받는 불편에 한 몫을 보태고 있다.
▲(사진 원안) 또한 현장 내 곳곳에 야적 보관 중인 폐콘크리트, 폐흉관에 기초저감시설인 그 흔한 그물망 등 방진덮개를 아예 설치하지 않거나 그나마 설치한 것은 허술하기 짝이 없는 등 비산먼지 저감에 다소 인색한 모습을 보였다.
▲(사진. 아래 사진은 현장의 모습) 야적 중인 발파암 역시 그물망 등의 설치가 부실했는데 다른 현장에서 관리 중인 상태와는 매우 비교적이다. 타 현장의 상태를 환경관리 롤모델으로 삼기를 기대해 본다.
▲(사진 원안) 게다가 본선 도로라인 가장자리 움푹 파인 곳에 방치돼 있는 부서진 폐흉관 잔재물은 자칫 그대로 토사에 묻힐 처지에 놓여 있어 폐기물 부적절 처리가 우려되고 있다.
물론 이 상황을 지적하지 않았다면 폐콘크리트 잔재물은 그대로 토양에 섞여 부적절하게 처리되는 게 다반사라고 주변에서의 귀띔이다.
▲(사진 원안) 이밖에 본선 도로라인 성토재로 사용한 골재에 소량의 폐콘크리트와 폐전선이 섞여 그대로 노출, 부실시공 우려를 낳고 있다.
한편 두 명의 해당 현장 관계자들은 본 기자와의 대화 과정에서 양손을 허리춤에 대고 볼멘소리를 하며 취재에 불편한 심기를 표출했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폐기물관리 부실 등이 한 눈에도 확연하게 발견되는데 그대로 방치하고 있다는 건 환경관리 부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며 “발주처 등은 관리 감독 사각지대가 되지 않도록 힘써야 할 것”을 주문했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천 초평은암산업단지 진입도로, 환경 빵점! (0) | 2019.07.05 |
---|---|
[카메라고발] 보령도시에너지(주), 폐기물 관리 부실 (0) | 2019.07.05 |
명산건설, 수질오염 안중에도 없어 ‘배짱공사’ (0) | 2019.07.04 |
대동, 총체적 환경 부실 관리감독 사각지대 탓? (0) | 2019.07.03 |
[카메라 고발] SK건설, 폐기물관리 허술 (0) | 201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