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륜·세척 과정 없이 토사 반출, 노면살수 흙탕물 실개천 유입 등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하고 (유)명산건설이 시공 중인 ‘보령~성주 우회도로 건설공사’ 현장에서 저감시설 없이 배짱공사로 인해 발생한 검은 물이 실개천으로 유입돼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시키고 있어 관계기관의 철저하고 지속적인 관리 감독이 시급하다.
▲(사진은 세륜·세척 과정 없이 운행 중인 차량) 지난 3일 현재, 해당 현장은 기초환경시설이자 비산먼지 발생억제시설인 세륜·세척시설 없이 터널 굴착공정을 위한 기초작업 과정에서 발생한 토사를 외부로 운송, 약 300여m 가량의 진입도로에 토사를 유출 시켰다.
▲(사진) 이에 살수차량을 이용해 간헐적으로 노면살수를 실시했지만 오히려 검은색의 흙탕물이 도로 바로 옆 저지대의 실개천으로 흘러들면서 심각한 수질오염을 불러일으키는 등 노면살수를 아니한 만 못한 역효과를 낳았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에선 도로 가장자리에 방지턱 기능을 위한 흙자루를 쌓거나 배수로와 침사지 등을 조성해 흙탕물 폐수가 개천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게 최고의 상책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리고 도로의 파인 곳과 가장자리에 고여 있는 흙탕물은 건조 시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이 되어 대기오염은 물론이거니와 가뜩이나 요즘 초미세먼지로 고통을 받는 불편에 한 몫을 더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도로에 토사가 유출하면 노면살수를 실시하면 된다는 이기주의적인 생각은 버려야 한다”라며 “노면살수는 도로미관을 위한 임시방책이지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아닌 만큼 토사 유출의 근본적인 원인을 차단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충고했다.
▲(사진 원안) 이와 함께 해당 현장은 토양 바닥에 비닐, 천막 등 불투수성 재질을 깔지 않은 채 레미콘 타설 작업을 진행, 토양 바닥에 굳은 시멘트 물의 흔적이 역력하게 발견되는 등 당시 함수율이 100%에 가까워 토양과 수질의 오염 개연성을 보였다.
▲(사진 원안 및 회색 물체) 이밖에 배수로 흉관 외부 거푸집 해체과정에서 발생한 폐콘크리트 잔재물이 토양에 떨어져 있는 데도 수거해 저감시설을 갖춘 곳에 보관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 자칫 그대로 되메움작업 시 묻힐 처지에 놓여 있는 등 폐기물의 부적절한 처리가 우려되고 있다.
물론 이 상황을 지적하지 않았다면 폐콘크리트 잔재물은 그대로 토양에 섞여 부적절하게 처리되는 게 다반사라고 주변에서의 귀띔이다.
▲(사진 원안) 해당 현장의 문제가 이 뿐만 아니라 저감시설을 갖추지 않고 폐기물을 야적, 폐기물관리에도 허술함을 나타냈다.
환경부에 따르면 임목폐기물을 파쇄해 생산한 우드칩은 농가의 제초용, 축사바닥재용, 퇴비용 등으로 사용되기 전까지는 재활용이 완료된 것이 아니므로 폐기물로 관리해야 한다.
또한 재활용 전의 우드칩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바람에 흩날리지 않도록 덮개 등의 시설을 갖추고 90일을 초과하여 보관하면 안 되고, 우드칩을 농가에서 퇴비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관할 지자체에 재활용신고를 이행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이제 공정률이 5%도 안 된 걸음마 단계인 상태에서 문제점을 지적한 게 그나마 다행”이라며 “앞으로의 공정 과정에선 환경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환경마인드와 함께 발주처 등은 지속적인 책임감 있는 관리 감독을 펼쳐야 할 것”을 주문했다.
이어 “해당 현장의 살수차량은 진입도로 옆 개천수를 취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관계기관에서 취수허가 승인 여부 확인도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고발] 보령도시에너지(주), 폐기물 관리 부실 (0) | 2019.07.05 |
---|---|
남광토건, 환경 부실 개선 필요 (0) | 2019.07.04 |
대동, 총체적 환경 부실 관리감독 사각지대 탓? (0) | 2019.07.03 |
[카메라 고발] SK건설, 폐기물관리 허술 (0) | 2019.06.20 |
삼중종합건설, 환경 무시한 배짱공사 ‘경악’ (0) | 201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