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기사

한진토건, 오염저감시설 허술

은쉬리 2007. 10. 1. 11:30

허술한 침사지(원안)와 흙탕물로 인해 하천 생태계파괴가 우려되고 있다.

 

환경 소홀한 공사로 오염 우려

흙탕물 저감시설 미흡

 

춘천시 신동면 혈동리 인근 하천이 한 건설사의 허술한 오염저감시설로 인해 고탁도의 흙탕물로 변해버려 생태계파괴가 우려되고 있다.

 

춘천시가 발주한 ‘약물골천 배수로 정비공사’ 현장은 환경혐오시설인 ‘쓰레기 매립시설’ 내이며,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난항을 겪고 있는 ‘도시형 폐기물 종합처리시설’이 들어설 곳이라 지역주민 및 환경단체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곳이다.

 

특히 흙탕물이 유입된 해당 하천은 불과 몇 년전에도 환경단체에서 호안공사 등으로 인해 생태계파괴를 우려했던 곳이며, 현재 하천 생태계가 안정화로 접어들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시공사인 (주)한진토건은 지난 달 29일 중장비를 계곡하천에 투입해 구조물터파기 등의 공사를 진행, 고탁도의 흙탕물을 발생시켜 인근 폭 5m의 하천에 유입, 환경단체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해당 시공사는 흙탕물 저감을 위해 하천 입구에 침사지를 설치하고 하천 아래 10여m 지점에 오탁방지망을 설치했다.

 

하지만 설치한 침사지와 오탁방지망은 흉내만 낸 듯 허술하기 짝이 없는 눈가림식이라 계곡하천 바닥을 긁어내면서 불어난 흙탕물이 흘러넘치고 있는 상태다.

 

이로 인해 하천 수서생물 생태환경 파괴는 물론 집수정 등의 레미콘타설 작업이 이뤄질 경우 심각한 생태계파괴 및 수질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이날 취재진이 흙탕물 유입상태를 살펴보니 배수관 공사가 이뤄지는 약 300여m 구간의 계곡하천과 폭 5여m의 하천 1km 가량은 고탁도의 흙탕물로 뒤덮여 바닥 식별이 불가능했다.

 

환경단체 등은 시공사가 계곡하천이 넓어지면서 수량 증가와 급속한 유속으로 인해 침사지와 오탁방지망 범람을 예측하지 않고 단지 오염저감시설만 설치하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오판에 눈가림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배수관 공사가 이뤄지는 구간의 하천 생태계파괴는 불가피 하더라도 철저한 사전준비로 공사구간과는 상관이 없는 큰 하천에 대한 생태계파괴 등은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주민 A씨는 “해당 하천은 과거에도 호안공사 등으로 인해 생태계파괴 등 수난을 겪고 이제는 어느정도 안정화에 접어들고 있는 상태”라며 “그런데도 지자체에서 발주한 공사가 이렇게 시뻘건 흙탕물을 흘러내려 보내면 그동안의 노력은 또다시 허사가 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해당현장 관계자는 “흙탕물 유입 방지를 위해 침사지와 오탁방지망을 설치하고 있는 등 환경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고 있다”며 “다소 미흡한 부분에 대해서는 즉시 시정하겠다”고 해명했다.

 

특히 환경전문가들은 흙탕물 등 유입은 수서생물과 어류 등을 폐사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오염저감시설인 침사지를 여러 단계에 걸쳐 완벽하게 설치한 후 공사 진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윤종성 (사)한국야생동물보호협회 춘천지부장은 “흙탕물은 물고기의 아가미를 막아 폐사시키는 등 하천생태계 훼손 및 교란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라며 “사전에 환경오염 저감시설인 침사지 등을 완벽하게 설치해 생태계파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또 “대부분의 하천공사 현장이 공사금액 문제를 이유로 오염저감시설을 대충 설치, 흉내만 내고 있다”며 “하천공사 현장에 대한 행정당국의 각별한 관리감독과 이에 따른 강력한 법적조치로 ‘환경 무시, 공기 단축’의 무책임한 현장에 경종을 울려야만 환경오염 행위가 자의적으로 근절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와 관련 시청 관계자는 “하천에서의 공사시 침사지를 조성한 후 부직포를 깔고 그 아래에 오탁방지망 설치를 업체에 지시하고 있다”며 “해당 현장을 확인 한 후 조치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춘천=권혁경 기자)

 

환경일보 www.hk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