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강 내 폐기물 보관, 오염 방지시설 미설치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발주, 동광건설(주)가 시공 중인 ‘화천대교 건설공사’ 현장은 한강 상류의 국가하천인 북한강 내에 폐기물을 오염 방지시설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야적 보관, 침출수 등으로 인해 북한강 수질이 위협받고 있다.



▲(사진 원안) 24일 현재 해당 현장 북한강 옆 부지에 기초터파기 과정에서 발생한 비닐, 음료 용기 플라스틱 등 이물질(폐기물)이 다량 섞인 폐토사를 그물망을 설치한 채 보관 중인데, 전체를 완전하게 감싸지 않고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지 않아 수많은 비닐 등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 강풍이라도 불면 바로 옆 하천으로 날아들 판이다.
특히 그물망은 비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가 없어 비를 맞는다면 빗물이 스며들어 토사와 이물질에서 발생한 침출수가 바로 옆 북한강으로 스며들 공산이 매우 커 수질오염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는데도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배수로, 방지턱 등을 전혀 설치하지 않았다.

▲(사진 원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북한강과는 불과 10여m도 안 되는 곳에 폐기물을 보관하면서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오염 방지시설인 그 흔한 그물망조차 설치하지 않았다. 물론 그물망을 설치했다 하더라도 하천 바로 옆인 만큼 침출수 발생, 하천으로 유입 안 된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사진 원안) 설상가상, 마대자루에는 성상과 처리방법이 다른 폐레미콘, 철사, 철제박스, 장화, 비닐, 폐목재, 음료 용기 등 가연성·불연성·생활계 폐기물을 혼합, 소위 ‘내키는 대로 갖다 버린 식’의 아무런 생각 없이 마구잡이로 혼합한 것으로 보여 클린현장으로 가기엔 너무나 요원했다.

▲(사진 원안) 여기에 안타까운 건, 시멘트 관리가 부실한 탓에 사용 불가능해 폐기물로 처리하기 위해 버렸는데 그 물량이 그리 많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도 있겠으나 ‘하나를 보면 열 가지를 알 수 있다’는 말의 깊은 의미를 되새겨 봐야 한다.
즉, 건설 자재의 관리 부실로 인해 아까운 자원(시멘트) 낭비와 함께 당초에 없었던 폐기물 처리비용 발생이란 2중의 손해를 초래했다. 물론 가연성·불연성 폐기물을 혼합한 탓에 혼합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이러고도 공사비 만성적자에 허덕인다고 말할 수 있을까?
한편, 현행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폐기물의 종류와 성질·상태별로 재활용 가능성 여부, 가연성이나 불연성 여부 등에 따라 구분해 수집·운반·보관해야 하며, 작업인력이 생활하면서 배출시키는 음료캔, 종이컵, 음식물쓰레기 등 생활계폐기물 역시 별도 보관해야 한다.

▲(사진 원안) 또한 파손 등 사용 불가능해 걷은 오탁방지망(막)이 폐기물임에도 불구하고 방진덮개를 설치하지 않은 채 방치, 맞은편 강 건너에서 봐도 흉물스럽기 짝이 없다.


▲(사진) 이와 함께 철제 H빔 등 철제품이 녹슨 채 널브러져 있는데 흉물스러운 모습은 접어두고, 행여 녹물이 북한강에 스며든다면 그다지 환경에 유익한 일은 아닌 만큼 한곳에 모아 놓고 천막 등으로 덮어주는 것이 맞지 않을까 싶다.

▲(사진 원안) 더욱이 공사현장 아래 북한강에 설치한 오탁방지망(막)은 강물에 떠내려가 유실돼 일부분이 흉물스러운 상태로 놓여 있는데도 다시 설치하지 않아 폐토사에서 유입한 비닐, 교량 공사현장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의 흐름을 막을 수가 없다.
환경단체는 녹슨 철제품은 될 수 있는 한 하천에서 떨어진 곳에, 폐토사와 폐기물은 상부에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벽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하천 주변이 아닌 다른 장소로 옮겨 보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폐기물관리 부실은 발주처든 감리사든 시공사든 환경에 대해 조금만 관심 가지고 현장 관리를 했다면 얼마든지 발생하지 않을 상황이라 결국은 ‘눈뜬 장님식’ 현장 관리 감독의 현주소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는 셈.



▲(사진 원안) 이밖에 사무실 내에 그물망 등 오염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채 폐콘크리트를 보관 중이며, 도로에 토사를 유출시켜 노면 미관 훼손, 흙먼지 발생, 대기오염에 일조하고 있다.


▲(사진 원안) 또 비록 단 한 개라지만 폐콘크리트를, 그리고 교각 옆 토양에 폐레미콘이 떨어져 굳어 있는데도 무심하게 방치 중이다. 그것도 하천 인근에서. 폐기물관리에 관심 없다는 방증 아닐까?
이와 관련해 시공사 관계자는 “지난주 터파기 공사 과정에서 매립쓰레기가 발생해 현재 화천군청에 폐기물 처리 품의서를 올려 실정보고 한 상태”라며 “화천군에서 결정이 나면 폐기물로 처리할 계획”이라고 별로 대수롭지 않게 알려왔다.
또 “오탁방지망은 가교 설치 수중공사 과정에서 설치했는데 그다음에는 설치 계획이 안 잡혀 있어 설치하지 않았다. 차후 가교 철거 시 필요하면 설치할 예정”이라고 역시 가볍게 여기며 말했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하천 부지에 폐기물을 쌓아 보관하는 것은 오염에 그대로 노출,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지적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다른 장소로 옮겨 보관하는 것을 고심해봐야 할 것”을 주문했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고발] 권선개발, 석분 폐수 하천 유입 어쩌나? (0) | 2025.03.31 |
---|---|
[카메라 고발] 하천에 폐기물 정신 있나 없나? (0) | 2025.03.31 |
[카메라 고발] 영진건설, 폐기물관리 부실 (0) | 2025.03.11 |
남도건설, 환경 지적 ‘씨알도 안 먹혀’ (0) | 2025.03.02 |
황룡건설, 폐기물관리 부실에 불법 소각 (0)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