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유 노상 방치, 레미콘 차량 세척 시멘트 물 토양·수질오염 등
경남 거제시에서 발주하고 금광기업이 시공 중인 ‘거제 동서간 연결도로 공사’ 현장에서 폐기물 관리가 헛돌고 있어 주변 환경이 오염에 노출, 관계기관의 강력하고 엄중한 단속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 지난 29일 현재, 폐콘크리트와 폐목재 등 폐기물 더미에 비산먼지 발생 억제시설인 그 흔한 그물망 등 방진덮개를 아예 설치하지 않았거나 그나마 설치한 것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
설상가상 폐기물의 부적절한 처리 방지를 위해 임시야적장 표지판에 폐기물의 성상, 중량, 발생일, 반출예정일, 반출장소 등을 기재해 놓는 게 일반적으로 보편화 돼 있는데 표지판조차 없어 폐기물이 언제 발생해서 언제 반출되는지 도무지 알 길이 없기 때문에 결국 양심에 맡길 수밖에 없는 상태로 폐기물의 부적절한 처리 의혹 및 관리가 대충대충 건성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현행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건설폐기물은 침출수로 인한 제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시멘트, 아스팔트 등의 재료로 바닥이 포장되고 지붕과 벽면을 갖춘 보관창고 등에서 보관 관리해야 한다.
또한 썩어서 침출수 발생이 예상되는 폐목재, 임목폐기물, 종이류 등의 폐기물을 일반 토양 위에 야적할 경우 주위에서 빗물, 지표수 등이 스며들지 못하게 하고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에 가변 배수로와 침사지 등을 조성해야 하며, 집수한 침출수는 적법하게 처리해야 한다.
▲(사진 원안) 이밖에 폐레미콘 잔재물이 토사에 섞여 그대로 부적절하게 처리될 처지에 놓여 있으며, 속칭 레미콘 똥이 떨어진 채 굳어 있다.
▲(사진 원안) 특히 기름성분이 함유된 엔진오일통과 폐유가 담긴 스치로폼 박스 상부에 덮개조차 없어 비가 올 경우 흘러넘쳐 토양 오염은 물론 바로 인근의 저수지 하부 소하천 수질을 위협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
▲(사진 원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토양 위에 레미콘 차량 세척 흔적이 역력하게 발견되고, 고의적으로 고랑을 내어 저수지 하부 소하천에 유입케 한 어처구니없는 행위를 자행,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하고 있다.
결국 이 현장은 레미콘에 함유된 알카리성 폐수의 시멘트 물은 독성이 강해 인체와 환경에 매우 치명적인 만큼 침출수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토양 위 무단 투기 행위 및 차량 세척행위 금지를 위반했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소하천 인근에서의 레미콘 차량 세척행위와 폐유 방치 등은 도저히 이해가 안 가는 몰상식한 행위”라며 “한 눈에 봐도 쉽게 띠일 텐데도 방치하고 있다는 건 환경의식이 밑바닥 수준이라는 걸 반증하는 게 아닐까 싶다”라고 비꼬아 충고했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고발] 환경 무지 공사 현장 ‘이럴 수가’ (0) | 2018.04.01 |
---|---|
남진건설, 무지몽매 폐기물 개념 상실 (0) | 2018.03.31 |
동아건설산업, 폐기물 관리의식 밑바닥 (0) | 2018.03.29 |
[카메라고발] 오염 무방비 공사현장 단속 절실 (0) | 2018.02.22 |
동아건설산업, 비산먼지 저감 인색 ‘배짱공사’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