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강변에 레미콘 슬러지 무단 투기 및 페인트 오염 등
▲강원 화천군이 발주한 자전거도로 교량가설 공사 현장에서 북한강변에 레미콘 슬러지를 무단 투기해 토양과 지하수 및 하천 수질 오염 개연성이 농후하다.
강원 화천군이 발주하고 전진종합건설(주)가 시공 중인 ‘거례~원천간 자전거도로 교량가설 공사’ 현장에서 반환경적인 공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관할 지자체의 단속의 손길은 멀기만 하다.
더욱이 국가하천인 북한강에서 이뤄지고 있는 공사, 그리고 관급공사라 더더욱 환경관리에 신경을 기울여야 하는 데도 버젓하게 오염행위가 이뤄지고 있는 것은 발주처이자 단속권자인 화천군의 ‘제 식구 감싸기?’ 지도단속 및 관리감독 부재?가 한 몫 했다는 지적이다.
지난 4일 현재 해당 현장의 바지선 선착장 및 자재 야적, 작업장 부지 내 서너 군데에 걸쳐 레미콘 슬러지를 무단 투기했다. 그 당시 함수율이 100%에 달해 토양 및 지하수, 그리고 바로 옆 하천 수질을 오염시켰을 개연성이 매우 농후하다.
(▲사진 원안) 심지어 하천과 불과 1m도 채 안 되는 곳에다가 레미콘 슬러지를 무단 투기한 행위로 미뤄 시멘트의 위해성을 전혀 모르는 듯하며, 너무 어이없어 관리감독 책임자는 무얼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가 없다.
(▲사진 속 회색부분)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 시, 더구나 하천 바로 옆이라 더더욱 바닥에 비닐 등을 깔고 레미콘 타설 등의 작업을 해야 하는 데도 아예 이마저 지키지 않아 구조물을 걷어낸 바닥은 온통 시멘트 물이 굳은 잔재물로 어지럽게 널려 있다.
이 역시 작업 당시 레미콘에 함수율이 100%에 달해 토양과 지하수 및 인근 하천 수질 오염을 야기 및 가속화하였을 것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을 듯싶다.
그리고 만약 취재진이 지적하지 않았다면 그대로 토양에 섞여 부적절하게 처리되지 말란 법 없다고 장담할 수만도 없지 않을까?
결국 이 현장은 시멘트에 함유된 중금속 가운데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6가크롬이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는 발암물질이며 알레르기, 피부염 등 유발과 아토피성 질환 악화 및 사람의 장기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것과 진배없다.
(사)한국자연경관보전회 환경감시단은 “아무리 적은 량일지라도 레미콘 슬러지의 토양 위 무단 투기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라며 “하물며 대형 하천 옆에서 레미콘 슬러지 무단 투기라니 기가 막혀 말이 안 나온다. 관리감독 책임자들은 무얼 하고 있는지? 씁쓸할 뿐이다”라고 개탄했다.
(▲사진)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작업장 내 한쪽 부분의 토석 등은 온통 녹색 페인트로 오염돼 있는 상태로 처음 이 광경을 본 취재진은 해도 해도 너무했다는 생각만 들었다. 페인트로 오염된 잡풀이야 별다른 문제가 없겠지만 그것만 봐도 도색 작업당시 매우 허술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는 것이다.
즉, 구조물에 대한 페인트 도색작업 시, 특히 후끼작업을 할 때에는 페인트 성분의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해 밀폐 및 토양 바닥에 비닐 등을 깔아야 하는 데도 이 과정을 지키지 않아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한 것.
상황이 이렇게 되도록 발주처, 감리사 등 관리감독 책임자들은 무얼 했는지? 작업 당시 현장에는 있었는지? 환경의식은 올바른지? 등 아니 물을 수가 없다.
그리고 설령 모르는 사이에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 손치더라도 제대로 된 현장 관리감독이 이뤄졌다면 나중에라도 얼마든지 정리할 수 있었을 법한데도 방치하고 있는 건 결국 현장에 대한 사후관리조차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상태로 미뤄 추측컨대 페인트 도색작업 당시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차단막을 설치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한국자연경관보전회 환경감시단은 “페인트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 시너, 톨루엔 등이 다량 함유돼 있어 친환경 제품이라도 인체에 흡입되면 질병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라며 “따라서 작업자는 반드시 방진마스크를 착용하고 주위에 폐해가 없도록 차단막을 설치해 대기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라고 충고했다.
이어 “페인트 도색작업은 밀폐된 공간에서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며, 외부에서 콤프레샤 등을 이용한 도색작업 시 반드시 토양오염 방지 시설 및 방진차단막을 설치해야 한다”라며 “이러한 문제 때문에 외부 작업 시는 페인트가 비산되지 않도록 롤러, 붓 등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 역시 바닥은 반드시 비닐 등의 불투수성 재료를 깔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혁경 기자>
SNS국민기자단 http://www.snsreporter.co.kr/sub_read.html?uid=8382§ion=sc4§ion2=환경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론보도] 충주 호암지구 택지개발 “석면 골슬레이트 몰랐다” (0) | 2014.12.10 |
---|---|
충주 호암지구 택지개발, 석면 무시 ‘충격’ (0) | 2014.12.09 |
[카메라고발] 횡성 우천산단 현장, 환경 인색 ‘단속 시급’ (0) | 2014.12.02 |
한라건설, 폐기물 부적절 처리 의혹 ‘말썽’ (0) | 2014.12.01 |
[카메라고발] GS건설, 세륜슬러지 관리 허점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