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발기사

현대산업개발, 관리감독 소홀 ‘오염 부추겨’

은쉬리 2009. 2. 25. 03:57

 

현대산업개발, 관리감독 소홀 ‘오염 부추겨’

중부내륙선 여주~양평간 공사현장

하도급사 태아건설, 오염저감 시설 허술....시공사 관련 답변 ‘오리무중’

 

신설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관리감독 사각지대란 이점을 이용, 환경은 뒷전으로 미룬 채 공사진행에만 급급해 하고 있어 주위로부터 눈총을 받고 있다.

 

더욱이 건설폐기물인 숏크리트 반발재(잔재물)가 혼입된 발파암 버력을 적정 처리하지 않고 현장 내 성토재로 사용하는 등 폐기물관리에 빨간불을 켰다.

 

이 같은 ‘환경 뒷전 공사 우선’ 현상은 발주처의 관리감독 부재도 문제지만 시공사가 모든 공사를 하도급사에게 떠맡기고 강건너 불구경 하듯 수수방관 하는 것도 한 몫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도로공사가 중부내륙고속도로 연결 및 영동고속도로 확장에 따른 교통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발주한 ‘중부내륙선 여주~양평간 도로개설 공사’는 오는 2012년 12월경 완공을 목표로 36.6km 구간에서 4개 공구로 나눠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문장리와 산북면 용담리를 잇는 2-1공구는 현대건설산업(주)가 주시공사로, (주)태아건설이 하도급사로 참여해 터널공사 등을 진행하면서 현재 18.41%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해당 공사현장에서 건설폐기물인 숏크리트 리바운딩 반발재(잔재물)가 혼입된 발파암 버력을 부지 성토재로 사용한다는 제보에 따라 현장을 확인한 결과 사실임이 드러났다.

 

23일 현재 터널 굴착작업 과정에서 발생된 숏크리트 반발재(잔재물)가 혼입된 발파암 버력을 금사5터널 인근의 신규 터널 굴착예정지 시점부와 종점부에 성토재로 사용, 주변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여기에 숏크리트 레미콘 차량이 불법 세척한 흔적도 발견됐으며, 금사5터널 입구에 설치된 레미콘슬러지 보관소는 시멘트 성분이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한 차수막 시설도 갖추지 않은 채 웅덩이에 보관하는 등 시멘트 성분의 심각한 위험성을 상실한 듯 했다.

 

또한 바로 옆에 조성한 폐수처리장은 상부에 지붕 등의 시설이 없어 비가 올 경우 폐수가 흘러 넘쳐 아래의 B·P장을 거쳐 하천으로 유입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이다.

 

특히 금사5터널과 신규 터널 굴착 예정지 사이에는 마을 도로를 따라 소하천이 형성돼 있는데도 발파암을 야적하면서 가변배수로 및 침사지, 덮개 등의 설치가 전무해 수질오염이 극명한 사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실제로 야적장 하부에 2단계의 오탁방지망을 설치했지만 석분가루 등이 아래로 흘러내려 가는 것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 하천바닥이 하얀 침전물로 채워져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하상생물과 부착조류에 악영향을 끼쳐 수질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설상가상, 금사5터널과 B·P장은 하천에 비해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비가 올 경우는 물론 세륜수와 노면살수로 인한 흙탕물이 그대로 하천에 유입돼 수질생태계 파괴를 가중시키는 현상도 낳고 있다.

 

환경단체에서는 흙탕물과 석분 등이 가라앉은 오탁수의 미립자들은 물속 바닥의 저서생물과 부착조류에 악영향을 끼치고 물고기 산란처 파괴 및 강의 자정능력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는 만큼 침사지 설치 등 환경피해를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밖에 육안 식별로 탁도 20°가 훨씬 초과하는 고탁도의 흙탕물이 분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사차량의 세륜세차 과정도 허술해 하천 옆 도로 약 100여m 가량이 흙탕물 도로로 변해 버렸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노면살수로 인한 물은 고스란히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살수차량이 세륜수를 공급하고 있으나 석분과 시멘트 성분이 함유된 하천수가 세륜수로, 다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등 폐수사용 순환 현상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게다가 흙탕물로 더렵혀진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들은 외부가 훼손되지 않도록 거북이 걸음으로 조심스럽게 운행하는 광경도 연출하면서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

 

더욱이 태아건설이 운용 중인 B·P장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동력장치를 이용해 취수 및 살수차량도 하천수를 취수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허가는 받지 않은 듯 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지자체에 문의했으나 시원한 답변을 들을 수가 없어 확인 자체가 안됐고, 소관업무를 타부서로 떠맡기는 전형적인 탁상공론 행정만 확인돼 씁쓸함을 더했다.

 

해당 지자체의 지역경제과 관계자는 공사현장에 한시적으로 설치 운용되는 B·P장은 레미콘 제조시설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소관업무가 아니고 도로건설과 소관이라고 했으나 이 부서 관계자 역시 인·허가 사항을 몰라 확인 후 연락을 주겠다고 했으나 현재까지 함흥차사이다.

 

취재진은 태아건설 관계자에게 하천수 취수에 관련한 허가사항 등에 대한 자료를 요구했으나 ‘하천 사용수 허가는 받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는 짧은 답변 뿐, 더 이상의 말을 아꼈다.

 

이에 취재진은 시공사에 B·P장 설치에 따른 관련 서류와 하도급사의 환경관리 부재 등에 대한 책임소재를 규명하기 위해 연락을 취했으나 관련자가 자리에 없는 탓에 확인이 불가능 했고, 한 직원이 연락을 주겠다고 했으나 이틀이 지난 현재까지도 아무런 답변은 없다.

 

이 같은 현상은 시공사는 공사진행에 대해 뒷짐만 지고, 하도급사가 모든 공사를 맡아서 진행하고 있는 탓에 환경은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이고, 관리감독의 책임을 회피하면서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을 하도급사에 떠맡기는 건설현장의 현주소란 혹자들의 지탄을 뒷받침 하고 남음이 있다.

 

아무튼 해당 현장이 환경은 뒷전으로 미루고 공사진행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탓에 인근 소유리 주민들의 ‘크랴샤버럭장 설치 결사반대’가 결코 무리한 요구가 아닐 성도 싶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시공사 등은 공사기간 단축에만 급급한 나머지 환경은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라며 “환경친화적 공사로 오염 피해를 최소화하고 관련 감독기관은 수시로 현장을 방문해 사후관리 철저 및 지도·단속 등 시공사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해당 현장은 국민의 혈세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친환경적인 공사진행으로 환경 및 주민피해를 최소화하는 ‘클린 현장’으로 가꾸어 가길 혹자들은 바라고 있다.

 

환경건설일보

http://www.hwankyungdaily.com/detail.php?number=2711&thread=23r05

 

※본 기사는 본지 편집방향 및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