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시공사가 시행하고 (주)특수건설이 시공 중인 ‘다산신도시 부지조성 공사 2공구’ 현장은 심각한 환경 부실을 드러내며 막무가내 공사를 강행하고 있지만 관련공사 발주처의 관리감독과 지자체의 지도와 단속의 손길은 멀기만 하다.
▲(사진 원안) 9일 현재 수조식 세륜·세차시설 바닥에 침전돼 있던 슬러지 역시 차량 하부조직에 묻은 기름과 브레이크 라이닝에 함유된 석면 등 위해물질이 함께 세척돼 섞이기 때문에 건설폐기물 증 건설오니(지정폐기물에 해당되지 않을 경우)에 해당돼 마대자루 등에 담아 즉시 비에 안 맞게 지붕 등 비가림시설을 갖춘 슬러지 건조장에 보관해야 하는데도 여러 군데의 노상 위에 퍼 올려놨다.
▲(사진) 설상가상 한쪽 벽 하부에 구멍을 내어 세륜 폐수가 저감시설을 갖춘 침사지가 아닌 고랑으로 흘러나가게 해 바닥엔 슬러지가 침전돼 쌓여져 있는 등 토양과 지하수 등의 오염이 불가피하다.
물론 세륜수는 처리수의 내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인 탁도가 20˚이내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혼탁했다.
▲(사진 원안) 이러한 상황은 다른 곳에 설치돼 있는 자동식 세륜시설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슬러지가 담긴 마대자루를 비가림시설을 갖춘 건조장이 아닌 토양 위에 방치하고 있다.
▲(사진 원안) 특히 토양 위에 슬러지를 퍼 올려 양생시키고 있는가하면 차수막시설도 갖추지 않은 커다란 웅덩이에 슬러지를 쏟아버리거나 세륜 폐수가 흘러들게 하는 등 심각한 세륜슬러지와 세륜 폐수 관리 부실이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사진) 이밖에 막대한 분량의 폐아스콘 더미와 폐콘크리에 비산먼지 억제시설인 그 흔한 그물망 등 방진덮개조차 설치하지 않고 있는데 시멘트에 함유된 유해 환경호르몬인 6가크롬은 견고하게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방출되지 않지만 마모되거나 부서진 표면에서 발생한 미세분진 속에 다량의 크롬이 함유돼 신체 내로 침투하게 된다는 사실을 항상 잊어서는 안 된다.
▲(사진) 또한 야적 중인 표토와 폐토사, 폐기물이 담긴 마대자루 등 역시 방진덮개 시설이 없거나 그나마 설치한 것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
▲(사진 원안) 이와 함께 자재관리 부실 탓인지 백색 시멘트 포대가 찢어진 채 버려져 있어 바람에 시멘트 가루가 날려 오염 및 인체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아까운 자원낭비와 폐기물처리 비용 증액 등 2중의 피해로 국민의 혈세가 새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라 안타까운 마음마저 들었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우조선해양건설, 폐기물 불법 처리 ‘들통’ (0) | 2016.11.10 |
---|---|
[카메라고발] 신미화건설, 폐기물 분리 안 해 (0) | 2016.11.10 |
[카메라고발] KSC건설 다산신도시, 환경·폐기물 관리 ‘뒷전’ (0) | 2016.11.09 |
[카메라고발] 일성건설 다산신도시, 폐기물 보관기한 초과? (0) | 2016.11.09 |
[카메라고발] 한진중공업 열연계배관공사, 폐기물 관리 부실 (0) | 201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