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임직원들이 재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안전 UCC’를 제작하고 있다.
무재해 1천500만 시간 기록 달성
현대중공업이 감성을 일깨우는 자율안전문화를 정착시키며 재해 없는 안전사업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임직원 스스로가 참여해 안전의 중요성을 깨닫고 지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재해예방 활동을 펼치며 ‘무재해 1천500만 시간(비사고성 재해 제외)’이란 기록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현대중공업에 따르면 무재해 1천500만 시간은 지난 4월 20일부터 6월 6일까지 약 7주 동안 4만5천여 전 임직원(협력회사 포함) 사이에서 단 한 건의 사고성 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 무재해는 중대재해나 업무로 인해 4일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을 당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이 기록은 제조업부문 작업의 난이도와 근무인원 등 대형 사업장의 특성상 창사 이래 처음 달성한 것이다.
현대중공업은 이날 이를 자축하고 안전한 일터 만들기에 노력해 준 모든 임직원들에게 답례하기 위해 ‘무재해 달성’ 기념 찹쌀떡 4만8천여 팩을 지급했다.
현대중공업은 무재해가 안전 규정이나 설비 개선 등 회사의 제도나 시스템 구축만으로는 어렵다는 판단으로 직원 스스로가 개인의 안전과 동료의 안전을 챙길 수 있도록 감성 안전교육을 통한 자율안전문화를 정착시켜왔다.
즉, 회사의 안전요원이 매주 지정일 작업장의 위험부분을 잘 개선한 바를 칭찬하고 격려하는 ‘안전 소통의 날’, 잘못을 지적하기보다 위험부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대화하는 ‘안전대화’, 직원들이 사고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영상물을 직접 제작하는 ‘안전 UCC콘테스트’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노력에 따라 지난 2006년 1.11%였던 재해율이 2007년 0.94%, 2008년 0.53%, 2009년 0.42%로 현격히 줄어들었다.
실제 2009년 말 노동부 집계 산업 재해율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산업의 평균 재해율이 0.70%이고 고위험종으로 분류된 조선업종의 평균이 1.41%인데 반해, 현대중공업은 전 산업 평균보다 낮은 0.42%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 박중순 전무(안전환경 총괄중역)는 “무재해 1천500만 시간은 전 임직원이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꾸준히 노력해 온 성과”라며 “자율안전 문화를 확고히 정착시켜 개인의 안전을 지키고 회사의 경쟁력도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경 기자>
http://www.hksn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923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세계 각지서 환경보호 활동 펼쳐 (0) | 2010.06.07 |
---|---|
현대차, 친환경 3D 간판 새단장 (0) | 2010.06.07 |
농진청, 경관조성용 조 신품종 개발 (0) | 2010.06.07 |
경기도, 환경산업 신뢰성 높인다 (0) | 2010.06.07 |
강원 쌀 떡 ‘향연’ (0) | 2010.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