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오니 담은 마대 토양 위 보관, 폐레미콘 마대에 담아
국가철도공단(구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하고 시공사 현대건설, 협력사 우원개발이 시공 중인 ‘별내선(암사~별내) 복선전철 3공구 건설공사’ 현장에서 폐기물관리가 다소 부실하게 이뤄지고 있어 주의와 함께 관계기관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 원안) 지난 11일 현재, BN2정거장 건설현장 인근 사무실 등의 부지에 함수율이 100%인 슬러지(건설오니)를 마대자루에 담아 보관 중이다. 이 때문에 침출수가 흘러나와 주변 바닥을 미세토사와 폐수로 흥건하게 적셔놨으며, 인근 비포장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이 우려된다.
대부분의 건설공사 현장에서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의 경우 토양 등의 2차 오염 방지를 위해 바닥이 포장되고 비에 안 맞게 지붕을 갖춘 보관소에 보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원안) 이렇다 보니 비록 소량이라 하더라도 폐레미콘을 완벽한 차수막시설을 갖춘 곳에 보관해야 하는 데도 토양 위에 마치 빈대떡처럼 버려놨다. 주변이 토양으로 되어 있는 점에선 콘크리트 타설을 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진 원안) 특히 본선 라인 상부의 레미콘 몰탈 생산작업장 바닥 복공판에 폐레미콘 잔재물이 떨어져 굳은 상태로 한눈에 봐도 흉물스럽기 짝이 없고, 향후 복공판에서 굳은 콘크리트를 힘겹게 분리해야 하는 고충을 안겨줄 것이 예상된다.
▲(사진 원안) 설상가상 폐레미콘을 마대자루에 담을 당시 함수율이 높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별도로 보관했다면 고형의 폐레미콘은 건설폐기물(건설폐재류)로 처리하면 되지만 마대자루에 담으면 서로 흡착돼 분리가 어려워 혼합건설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마대자루 자원낭비와 처리비용 증액 발생을 불러왔다.
▲(사진 원안) 엎친 데 겹친 격으로 굳은 시멘트를 쌓아 천막을 덮어놓은 상태인데 이 역시 아까운 자원낭비와 폐기물 처리비용 발생이란 2중의 피해를 초래한 등 시멘트 포대 관리가 엉성하게 이뤄져 왔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사진 원안) 이와 함께 폐기물이 가득 담겨 넘친 마대자루를 그대로 보관 중이며, 휀스 외부에 보관 중인 폐기물은 오가는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등 도심 환경 조성에 협조하는 배려가 필요한 대목이다.
(사)환경보전중앙협의회 관계자는 “해당 정거장 건설현장은 도심 속 시민들의 왕래가 빈번한 곳인 만큼 환경에 더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라며 “시민들의 깨끗한 시선과 건강을 위해 사소한 부분이라도 놓치지 말고 현장관리에 힘써 쾌적한 도심 환경 조성에 동참할 것”을 주문했다.
<권혁경 기동취재부장>
한국환경경찰신문 http://www.환경보전중앙협의회.com
※본 내용(글, 사진)은 본지 기사 편집 방향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고발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시 고위공무원, 갑질 막말 폭언 ‘충격’ (0) | 2020.12.16 |
---|---|
[카메라 고발] 석면 해체, 주민 건강 위협 (0) | 2020.11.12 |
[카메라 고발] 폐기물 방치...환경 오염, 시민 ‘눈살’ (0) | 2020.11.12 |
[카메라 고발] 성보씨엔이, 폐기물관리 허술 ‘눈살’ (0) | 2020.11.09 |
대륙건설산업, 환경 부실 여전 언제까지? (0)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