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 용해곡 상봉에서 발원해 서하리 팔당호로 유입되는 국가하천인 경안천의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팔당호로 직접 유입되는 하천인 경안천에 대해 지난 2000년부터 10년간의 수질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 된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그동안 생활하수 및 농·축·산업폐수 등으로 경안천 구간에서 가장 오염농도가 높았던 중류지점인 용인 왕산교 ~광주 경안교에서 수질개선이 현격하게 이뤄졌다.
이는 경안천 수질관리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확충, 하수도 보급률 확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생태습지조성, 공공 및 개인하수의 처리효율 개선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오염원에 대한 지속적인 수질개선 노력으로 BOD농도는 10년 전에 비해 왕산교 지점에서 약 61% (11.0mg/L→4.3mg/L), 경안교 지점에서 약 47%(8.6mg/L→4.6mg/L)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총질소의 경우 왕산교 지점에서 약 66%(20.259mg/L→6.970mg/L), 경안교 지점에서 약 54% (12.754mg/L→5.812mg/L) 개선됐다.
총인의 경우도 왕산교 지점에서 약 68% (1.235mg/L→0.397mg/L), 경안교 지점에서 약 60%(0.678mg/L→0.271mg/L)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유기물과 함께 축산농가에서 유래되는 영양염류인 총질소와 총인의 유입이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앞으로도 경안천 유역의 용인 및 광주지역 소규모 마을하수도에 대한 맨투맨식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비점오염 배출부하량 조사 및 저감방안 연구를 통해 경안천의 수질을 더욱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경기물정보관리시스템에 수질오염원 추적조사 기능을 추가 개발해 활용하는 등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앞장 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은이 기자>
http://www.hksn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446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세계 최고 명암비 모니터 출시 (0) | 2010.01.19 |
---|---|
대왕오징어 포항에 출현 (0) | 2010.01.19 |
경기도, G마크 300개 업체 확대 육성 (0) | 2010.01.19 |
[포토]회장기 전국초등학교 빙상경기대회 (0) | 2010.01.18 |
[포토]동진건설, 양록장학금 기탁 (0) | 2010.01.18 |